파비의 매일매일 공부기록

파이썬으로 살펴보는 아키텍처 패턴 - 3장 #2 본문

Study/Python

파이썬으로 살펴보는 아키텍처 패턴 - 3장 #2

fabichoi 2021. 10. 7. 23:30

3.3 선택한 추상화 구현
- 목표 : 시스템에서 트릭이 적용된 부분을 분리해서 격리, 실제 파일 시스템 없이도 테스트 가능하도록.
- 외부 상태에 대해 아무 의존성이 없는 코드의 '핵'을 만들고, 외부 세계를 표현하는 입력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살펴볼 예정.
- 에지 투 에지 테스트 형태로 구현.
- 엔드 투 엔드 테스트는 유지보수가 어렵기에 전체 시스템을 한 번에 테스트하되 가짜 I/O를 사용하는 일종의 에지 투 에지 테스트를 자주 작성.
- 의존성 주입과 가짜를 사용해 에지 투 에지 테스트 : 적용했던 추상화를 다시 풀고 테스트
- 저자는 목을 사용할 경우 code smell을 느껴서 사용하지 않는다고 말함.

3.4 마무리
- 지저분한 시스템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익숙한 파이썬 객체가 있는 경우 시스템 상태를 반환하는 단일 함수를 상상해보는 걸 추천
-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어떤 부분에 선을 그을 수 있는지 확인
- 시스템의 여러 부분을 서로 다른 책임을 지니는 구성요소로 나누는 합리적 방법에 대해 생각해볼 것.
- 어떤 의존 관계가 존재하는지, 핵심 비즈니즈 로직이 무엇인지 파악할 것.

반응형
Comments